번역해두신 자료가 있어 발췌해 왔습니다.
황금 비율, 피보나치 수열, 오원소, 사인 웨이브 등 수학적 요소를 웹디자인에 도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고 있습니다.
"수학은 아름답습니다."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은 이 말이 미친소리로 들릴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자연과 우주 그리고 작은 조개에서 부터 은하에 이르기까지 모든 만물이 수학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. 수학은 먼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예술과 건축 디자인등 여러분야게 걸쳐 이롭게 사용되어 왔습니다. 그리고 수학은 분명히 창의적인 디자인을 생산하는데 밑거름이 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웹 디자인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고 있습니다. 물론, 무조건 수학에 의지해서 디자인하자는 것은 아닙니다.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수학을 친구로 여기고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.
황금 비율(Golden Ratio) 디자인
"1:1.618" 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"황금 비율"이라고 하며 가장 아름다운 비율이라고 표현합니다. 그리고, 이 비율을 가진 직사각형을 "황금 사각형(Golden Rectangle)"이라고 합니다. 즉 아래와 같은 사격형입니다.
아래는 이 "황금 사각형"을 도입하여 웹 사이트를 디자인한 예입니다.
피보나치(Fibonacci) 디자인
피보나치 수열은 두 숫자 0과 1로 시작하는 수열에서 다른 자연수를 차례로 더한 수열입니다. 피보나치 수열의 순서가 더 높아지면 황금 비율에 가깝게 되고 이들은 서로 연관성을 가집니다.
피보나치 수열을 곡선으로 표현한 것을 "황금 나선"이라고 합니다. 이 나선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사각형으로 배치하면 이 사각형들은 황금 비율을 가진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 피보나치 수열을 웹 디자인에 도입하는 쉬운 방법은 레이아웃 컬럼의 너비에 적용하는 것입니다. 아래의 예를 봅시다.
총 3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의 너비는 피보나치 수열에 근거하고 있습니다. 기본을 90px로 잡고 첫 번째 컬럼은 180px (90 x 2) 두 번째 컬럼은 270px (90 x 3), 그리고 마지막 컬럼은 720px (90 x 8)의 너비를 가집니다. 또한 글꼴의 크기도 피보나치 수열에 해당하며, 제목은 55px, 표제는 34px 본문은 21px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피보나치 수열을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할 때 한정된 고정폭을 가진 레이아웃은 주의가 필요합니다. 예를 들어 페이지 전체 폭이 1,000px로 고정되어 있다면 피보나치 수열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습니다. 이 수열을 사용하기에 이상적인 숫자는 610px, 987px, 1,597px 이 있으며 당신은 이 범위 내에서 대략적인 값을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.
피보나치 수열은 잡지 스타일의 레이아웃과 블로그 등에 잘 어울립니다. 피보나치 수열을 다른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 “Nombre d’or, suite de Fibonacci et autres grilles de mise en page pour le design web” (프랑스어) 이 포스트는 피보나치 수열을 응용하는 방법을 조금 더 깊이 설명하고 있습니다. 만약 당신의 웹사이트 디자인이 너무 경직되어 있다면 피보나치 수열을 적용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해 보세요.
오원소(Five Elements , Or Kundli) 디자인
오원소는 인도의 별자리인 "Kundli"에서 온 것으로, 정 사각형에 대각선을 긋고 각 변의 중심을 이은 형태를 말합니다.
다음 예제에서는 "Kundli"의 기하학적인 배치에 근거하여 디자인한 것입니다.
사인 웨이브를 일컬어 "sinusoid"라고 합니다. 부드럽고 반복적인 파동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.
이 간단한 물결 모양의 패턴을 사용하여 페이지 레이아웃을 만들어 보겠습니다. 물론, 웹 디자인 뿐만 아니라 그래픽과 인포그래픽 등 다른 디자인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
'Web > Desig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샌드박스 어그로체 무료배포 (0) | 2021.09.02 |
---|---|
2021년 팬톤 컬러(PANTONE COLOR) (0) | 2020.12.15 |
Rix열정도체 무료 배포 (0) | 2020.12.06 |
2020년 한글날 기념 무료배포 한글 폰트 (1) | 2020.11.04 |
Vector 기반의 Badges 만들기 (0) | 2011.06.16 |